병적도박 진단 기준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구소 작성일06-05-18 23:00 조회1,47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병적도박 진단 기준표
1994년의 미국정신의학진단기준 제4판(DSM Ⅳ)에서는 병적 도박을 충동조절장애의 범주에 넣고 있지만, 진단기준이 되는 증상을 살펴보면 물질의존의 진단기준들과 거의 유사하다. 미국정신의학회에서는 다음 10가지의 증상중 5개 이상에 해당이 되면 병적도박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다음에 사용하고 있는 용어들은 정신과 전문의사들이 사용하는 학술용어들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보고서 스스로 적용시키기에는 무리가 많으며, 이 점검표만을 보고서 나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스스로 위안하면 안된다. 당사자는 아닌 것 같아도 제3자인 전문가가 보면 해당되는 경우가 아주 많아 해석에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가급적 전문가에게 판단을 맡기는 것이 더 좋다.
(1) 도박에의 집착(과거 도박할 때 느꼈었던 위로나 안도감에 집착하며, 다음 도전에서의 승률을 예상해보거나 계획을 세우고, 도박자금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궁리를 한다)
(2) 도박할 때 더 많은 흥분을 맛보기 위해 판돈을 올릴 필요성을 느끼며
(3) 도박을 조절해보거나 끊어보거나 중단하려고 여러 차례 노력해보았지만 반복해서 실패하고
(4) 도박을 끊거나 중단하려고 시도할 때 안절부절못하고 초조해 하며
(5) 문제로부터 도피하거나 기분 나쁜 상태(무력감, 죄의식, 불안, 우울 등)를 완화시키기 위해 도박을 한다.
(6) 도박에서 돈을 잃은 이후, 때로 더 많은 돈을 딴다(잃은 돈을 추적해가기, chasing).
(7) 가족이나 치료자 및 기타 다른 사람들에게 도박과 관련된 사실에 대해 숨긴다.
(8) 도박에서 잃은 돈을 만회하기 위해 문서위조, 사기, 절도, 횡령 등의 불법적 행동을 저지른다.
(9) 도박으로 인해 중요한 관계, 직업, 교육기회, 경력 등이 위태로워지거나 잃게 된다.
(10) 도박으로 인해 생긴 지독한 경제 상황을 완화시키기 위해 타인이 제공해주는 돈에 의존하게 된다.
1994년의 미국정신의학진단기준 제4판(DSM Ⅳ)에서는 병적 도박을 충동조절장애의 범주에 넣고 있지만, 진단기준이 되는 증상을 살펴보면 물질의존의 진단기준들과 거의 유사하다. 미국정신의학회에서는 다음 10가지의 증상중 5개 이상에 해당이 되면 병적도박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다음에 사용하고 있는 용어들은 정신과 전문의사들이 사용하는 학술용어들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보고서 스스로 적용시키기에는 무리가 많으며, 이 점검표만을 보고서 나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스스로 위안하면 안된다. 당사자는 아닌 것 같아도 제3자인 전문가가 보면 해당되는 경우가 아주 많아 해석에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가급적 전문가에게 판단을 맡기는 것이 더 좋다.
(1) 도박에의 집착(과거 도박할 때 느꼈었던 위로나 안도감에 집착하며, 다음 도전에서의 승률을 예상해보거나 계획을 세우고, 도박자금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궁리를 한다)
(2) 도박할 때 더 많은 흥분을 맛보기 위해 판돈을 올릴 필요성을 느끼며
(3) 도박을 조절해보거나 끊어보거나 중단하려고 여러 차례 노력해보았지만 반복해서 실패하고
(4) 도박을 끊거나 중단하려고 시도할 때 안절부절못하고 초조해 하며
(5) 문제로부터 도피하거나 기분 나쁜 상태(무력감, 죄의식, 불안, 우울 등)를 완화시키기 위해 도박을 한다.
(6) 도박에서 돈을 잃은 이후, 때로 더 많은 돈을 딴다(잃은 돈을 추적해가기, chasing).
(7) 가족이나 치료자 및 기타 다른 사람들에게 도박과 관련된 사실에 대해 숨긴다.
(8) 도박에서 잃은 돈을 만회하기 위해 문서위조, 사기, 절도, 횡령 등의 불법적 행동을 저지른다.
(9) 도박으로 인해 중요한 관계, 직업, 교육기회, 경력 등이 위태로워지거나 잃게 된다.
(10) 도박으로 인해 생긴 지독한 경제 상황을 완화시키기 위해 타인이 제공해주는 돈에 의존하게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