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중독 등으로 뇌신경 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도서

자료실

마약 중독 등으로 뇌신경 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거듭남 작성일08-03-01 19:53 조회1,255회 댓글0건

본문

뇌기능 손상방지 유전자 발견

[서울신문]마약 중독 등으로 뇌신경 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유전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 발견했다.

이 유전자의 기능을 강화시킨 신약을 개발, 인간에게 투약한다면 신경세포 손상으로 의식을 잃거나 뇌기능이 영구히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재섭 교수팀은 형질전환 초파리의 2만 7000가지 행동을 분석, 지나친 외부 자극에 의해 신경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유전자 ‘파이렉시아(Pyrexia·열병)’를 발견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연구 논문은 학술저널 ‘네이처 제네틱스’ 31일자 인터넷판에 게재되며, 이 학술지 3월호에도 실릴 예정이다. 미국에서 국제 특허로도 출원됐다.

연구팀은 초파리 연구를 통해 찾아낸 파이렉시아를 개구리 알과 사람의 세포에 발현시킨 결과, 섭씨 39도 이상의 온도자극에 반응을 보이는 성과를 거두었다. 연구팀 관계자는 “파이렉시아를 임의로 파괴시킨 초파리는 신경세포가 망가져 뇌기능이 마비됐으나 반대로 그 기능을 강화시킨 초파리는 정상적인 모습을 보였다.”면서 “이를 통해 파이렉시아가 온도조건만 맞으면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말했다.

초파리는 몸속에 지닌 유전자 1만 3000여개 가운데 3분의2가 인간의 유전자와 비슷한 기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 초파리 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국내에서는 비만·알코올중독·치매 등을 억제시키는 초파리 유전자를 해독한 사례도 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저작권자 (c) 서울신문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