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중독을 어떻게 예방하고 대응할 것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구소 작성일06-05-26 23:00 조회1,15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인터넷 중독을 어떻게 예방하고 대응할 것인가?
1. 하루중 컴퓨터을 켜고 끄는 시간을 일정하게 정하고 꼭 지키도록 노력한다. 뚜렷한 목적이 없는 웹서핑을 하지 말아야 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다른 일을 다 마친후에 컴퓨터를 켜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한 시간만 채팅하고 리포트를 쓰고 시험공부를 하겠다는 생각은 이 역시 중독증상의 하나일 뿐이다
2. 혼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을 피한다. 남에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은밀성이 사이버 중독증을 악화시기 때문에 보다 공개된 장소로 컴퓨터의 위치를 옮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3. 오락과 휴식의 도구로서의 컴퓨터 사용을 줄인다. 컴퓨터 사용은 신체적, 정신적 긴장을 유발하므로 또 하나의 스트레스가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과감하게 불필요한 게임 CD 는 정리하고 게임 파일을 삭제하는 것이 좋다.
4. 신체적 활동을 하는 시간을 늘린다. 땀을 흘리는 적절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모니터 앞에서 식사를 절대 하지 않으며, 바쁘더라도 컴퓨터를 끈 채로 식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5. 사이버 공간이 아닌 현실 공간에서의 대인관계을 늘인다. Pc 게임방을 가더라도 동료, 연인과 같이 가고 혼자서는 절대 가지 않는다는 원칙을 만드는 것도 좋다.
6. 더 재미있는 대안 활동을 찾는다. 단순히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만을 줄이는 데 목적을 두게되면 남는 시간에 할 일이 없어서 다시 인터넷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인터넷 말고 자신에게 즐거움을 주는 대안 활동을 찾아서 즐기는 것도 좋다. 한두 가지 말고 가능한 한 여러 개가 좋다.
7. 이런 노력을 통해서 중독증상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정신의학 관련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8. 자녀간의 신뢰관계가 가장 확실한 예방책이다.
-부모의 통제가 증가할수록 청소년들이 인터넷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교교사가 인터넷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낮았다.
-부모와 자녀의 신뢰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음란채팅의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자녀에 대한 관심, 믿음, 지지, 대화 등을 통하여 형성된 신뢰는 부모가 바람직하게 여겨지지
않은 인터넷 사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 하루중 컴퓨터을 켜고 끄는 시간을 일정하게 정하고 꼭 지키도록 노력한다. 뚜렷한 목적이 없는 웹서핑을 하지 말아야 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다른 일을 다 마친후에 컴퓨터를 켜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한 시간만 채팅하고 리포트를 쓰고 시험공부를 하겠다는 생각은 이 역시 중독증상의 하나일 뿐이다
2. 혼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을 피한다. 남에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은밀성이 사이버 중독증을 악화시기 때문에 보다 공개된 장소로 컴퓨터의 위치를 옮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3. 오락과 휴식의 도구로서의 컴퓨터 사용을 줄인다. 컴퓨터 사용은 신체적, 정신적 긴장을 유발하므로 또 하나의 스트레스가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과감하게 불필요한 게임 CD 는 정리하고 게임 파일을 삭제하는 것이 좋다.
4. 신체적 활동을 하는 시간을 늘린다. 땀을 흘리는 적절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모니터 앞에서 식사를 절대 하지 않으며, 바쁘더라도 컴퓨터를 끈 채로 식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5. 사이버 공간이 아닌 현실 공간에서의 대인관계을 늘인다. Pc 게임방을 가더라도 동료, 연인과 같이 가고 혼자서는 절대 가지 않는다는 원칙을 만드는 것도 좋다.
6. 더 재미있는 대안 활동을 찾는다. 단순히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만을 줄이는 데 목적을 두게되면 남는 시간에 할 일이 없어서 다시 인터넷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인터넷 말고 자신에게 즐거움을 주는 대안 활동을 찾아서 즐기는 것도 좋다. 한두 가지 말고 가능한 한 여러 개가 좋다.
7. 이런 노력을 통해서 중독증상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정신의학 관련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8. 자녀간의 신뢰관계가 가장 확실한 예방책이다.
-부모의 통제가 증가할수록 청소년들이 인터넷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교교사가 인터넷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낮았다.
-부모와 자녀의 신뢰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음란채팅의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자녀에 대한 관심, 믿음, 지지, 대화 등을 통하여 형성된 신뢰는 부모가 바람직하게 여겨지지
않은 인터넷 사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